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소니 RX100 MK5A 야경 사진 촬영 시 사용되는 초점 영역 안녕하세요, 글쓰는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제가 사용하는 소니 RX100 MK5A로 야경 사진을 촬영할때 사용하는 초점 영역에 대해 공유해 드리려고 하는데요. 지금도 카알못 이지만 레알 카알못 일때는 초점 영역이 왜 여러개 있는거지?라는 의문을 품었습니다. 그 의문은 다양한 구도에서 다양한 피사체를 촬영하며 저절로 배우게 됐습니다. 소니 RX100 시리즈는 와이드 , 존, 중앙, 플렉스블 스팟, 확장 플렉스블 스팟 등 총 6가지의 초점 영역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 중 야경촬영시 용이하기 사용되는 '와이드' 초점 영역에 대해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해당 리뷰는 소니 RX100 MK5A 메뉴얼 및 경험담을 바탕으로 포스팅 되었습니다.) TIP!RX100 MK5A 기준으로 초점영역 기능은 'fn'버튼을 누르.. 더보기
카메라 노출차이를 극복하는 방법 HDR 모드 안녕하세요 글쓰는 마케터입니다. 햇볕이 쨍할때, 그림자가 심하게 질때 등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의 노출차이가 심할때가 있는데요. 이렇게 차이가 심하면 프레임안에서 몇가지 물체를 포기해야만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대표적인 경우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와 하늘을 같이 담고 싶지만 노출차이가 심해 밝은 곳 혹은 어두운 곳을 버려야 할 때 인데요. 이런 경우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 HDR모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DRHigh Dynamic Range HDR(High Dynamic Rnage)은 밝기가 다르게 연속촬영을 진행한 후 하나의 사진으로 합성하여 노출차이를 줄여주는 기능인데요. 하늘을 표현하기 위해 하늘에 포커싱을 두고 HDR을 OFF한 사진과 HDR을 ON한 사진을 비교해봤는데요. 1.. 더보기
카메라 ISO 숫자! 쨍한 사진을 위해 이해는 필수! 안녕하세요 글쓰는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카메라 ISO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국제표준화기구)의 약자인데요. 뜬금없이 웬 '국제표준화기구'냐구요? 필름카메라 시절 작가의 의도에 따라 필름의 감도가 결정됐었는데요. 감도의 표기를 통일시키기 위해 국제적 표준 수치를 정한 것이 ISO이기 때문입니다. 감도는 쉽게 생각해서 '빛에 대한 민감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딱 두가지 사실만 알고 계시면 되는데요. 저감도 = 노이즈가 적다고감도 = 노이즈가 많다 ■저감도에 대해 ISO수치가 낮을 수록 저감도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대신 빛의 양 대비 노출(밝기)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빛을 필요로 합니다. 대신 노이즈.. 더보기
카메라 S모드 '셔터스피드' 가장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글쓰는 마케터입니다. 어제는 '카메라 조리개'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요. 오늘은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때 혹은 어두운 곳에서 조리개 값이 부족할때 사용하게 되는 '셔터스피드'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셔터스피드란?'눈을 감았다가 뜨는 속도' 카메라의 셔터스피드는 쉽게 이야기해서 '카메라의 눈'인 조리개가 눈을 감았다가 뜨는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이해를 돕기 위해 개념적인건 다 뛰어넘기겠습니다.) S모드 혹은 M모드 사용시 조리개를 컨트롤 하게 되면 보통 1", 500, 12000등의 숫자를 조절해야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은 조리개가 눈을 감았다가 뜨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1"(1초)라면 조리개가 눈을 감았다가 뜨는 속도가 1초라는 것이죠. 1초 동안 .. 더보기
카메라 수동모드의 시작 '조리개' 가장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글쓰는 마케터입니다. 블로그를 하면서 니콘 P300 똑딱이를 잘 사용했는데요. 최근에 소니 RX100 MK5A라는 하이엔드 디카를 구입한 후 카메라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카메라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해 드리려고합니다. 참고로 저는 카메라 쌩초보인데요. 이 글을 읽는 분들과 함께 성장하는 그런 계기가 되지 않을까합니다. 괜찮은 카메라를 구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괜찮은 사진을 찍고싶어서 일텐데요. 여기서 '괜찮음'이란 '촬영자의 의도'를 뜻하겠죠. '의도'대로 촬영한 사진을 갖기 위해선 카메라의 선택에 맡기는 AUTO모드 보다 M(수동), A(조리개우선), S(셔터스피드우선)를 선택해야 할텐데요. 오늘은 각 모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조리개(F값)에 대해 공유해 드리려고합니.. 더보기
페이스북 영상 다운로드 받기! 비공개 영상도 가능! 안녕하세요 ADitor입니다. 가끔 페이스북 영상을 보면 저장해서 활용하고 싶다라는 욕구가 뿜뿜할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페이스북에서 공개, 비공개 상관없이 다운로드 받는 방법에 대해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STEP1. 영상 링크 복사하기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영상의 플레이 버튼 '▶'을 누른 후 브라우저 주소창의 링크를 복사해주세요. TIP! 플레이버튼 클릭 시 영상이 안뜬다면?이런 영상을 비공개 영상이라고 하는데요. 우선 영상을 자신의 피드로 공유해주세요. 그 다음 플레이버튼을 누르면 링크를 복사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집니다. STEP2.링크주소 붙여넣기 https://www.fbdown.net/ 해당 페이지 접속 후 페이스북에서 복사한 링크를 붙여넣기 해주세요. 링크를 붙여 넣은 후에는 'Dow.. 더보기
대도서관 유튜브의 신_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다 인플루언서에 대한 생각의 전환유튜브의 신을 통해 대도서관에 대한 이미지가 180도 달라졌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이 책을 읽기전까지 구시대적인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인플루언서가 분명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라는 것을 눈으로 봤음에 불구하고 인정하기 어려웠는데요. 아마, 제가 처음 접한 컨텐츠들이 인정하기 어려운 컨텐츠 였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영상이 아닌 카드뉴스를 짜집기해서 업로드 한다거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수단으로만 여겼기 때문에..) 그러나 대도서관님의 스토리를 보며 인플루언서에 대한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세상에 쓸모 없는 것은 없습니다아마 인플루언서에 대해 인정하기 시작한 것은 네이버 된다님의 포스트를 통해서 였던것 같은데요. 대도서관님의 유튜브의 신을 통해.. 더보기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성 애드센스 만큼 향상 될까? 안녕하세요 3년차 마케터 ADitor입니다. 블로그를 시작하고 사람이 모이기 시작하면 '수익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데요. 최근 네이버에서는 네이버 공식 광고 매체인 '애드포스트'의 수익율을 높일거라 발표했습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는 블로그, 카페, 포스트 등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공식채널에 설치할 수 있는 네이버 공식 광고 매체인데요. 구글에서 제공하는 애드센스와 함께 국내에서는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습니다. 애드센스 = 구글 공식 광고 매체애드포스트 = 네이버 공식 광고 매체 지금까진 애드포스트 보다 애드센스의 수익율이 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텍스트 기반의 매체보다 이미지(Display AD)기반의 매체가 클릭당 단가가 더 높고, 소비자의 눈에 띄기 쉽게 때문에 수익율이 높을 .. 더보기
생활코딩 2일차. 하이퍼 텍스트와 속성 안녕하세요, 마케터로 재직하며 그리고 티스토리를 시작하며 가장 큰 욕구가 '코딩'이었는데요. 오늘부터 코딩공부에 들어가게 됐습니다. 스타트업 재직당시 개발자가 추천해준 '생활코딩'이라는 오픈 튜터링 페이지에서 시작하게 됐습니다. 첫 시작은 매우 익숙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부터 수강하게 됐습니다. 전 시간에 태그라는 HTML의 기본 문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는데요. 1. 태그란?기본 문법! 즉, 구조를 뜻합니다. HTML 기본 문법은 ' 내용 '으로 꺽쇠로 시작해서 꺽쇠 슬래쉬로 마무리됩니다. 2. 속성이란? 태그로만 충족되 못하는 여러 기능들의 조합을 뜻한다. 라는 태그는 '링크'태그이다. 만약 네이버로 연결시키고 싶을 경우(하이퍼링크) 텍스트 라는 '태그'를 네이버.. 더보기
블로그 썸네일에 텍스트를 넣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3년차 마케터 ADitor입니다.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가장 고민이 됐던것이 썸네일의 형식이었는데요. 대표적인 썸네일의 형식은 단일 이미지와 텍스트와 이미지가 결합한 형태입니다. 앞뒤 다 자르고 텍스트와 이미지가 결합된 썸네일을 추천드립니다. 블로그 유입경로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이 검색과 타컨텐츠에서 유입되는 것인데요. 여기에 썸네일을 텍스트형으로 제작해야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1. 검색 후 썸네일을 먼저 확인 위에서 말했듯이 블로그 유입경로 중 50%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검색'입니다. 의도를 가지고 검색한 결과이기 때문에 비슷한 의도를 갖고 컨텐츠를 작성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입을 위해서 같은 제품, 같은 소재가 검색된 지면에서 눈에 띄어야합니다. 눈에띠기 위해선? 제.. 더보기